Surprise Me!

[김태우 단독인터뷰③] 김태우 수사관이 증언한 ‘블랙리스트’

2018-12-27 87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지금부터는 김태우 수사관의 인터뷰 내용을 조금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.<br><br>여인선 앵커가 직접 만났습니다.<br><br>이런 주장에 대한 청와대의 반론, 그리고 외교관 사생활 감찰에 대한 외교부의 반응은 잠시 후 차례로 보도하겠습니다.<br><br>[기사내용]<br>Q. (목소리를 이렇게 내서 말씀하시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셨을 텐데, 결심하시게 된 이유가 궁금합니다.)<br><br>A. "(공무원에게) 휴대폰을 받아서 전체 개인 프라이버시까지도 탈탈 털어서 확인하고 그걸 바탕으로 사람을 조사하고 자백도 받고 이런 부분이, 저도 그 일을 했습니다. 지시로 하였지만, 그런 일을 하면서 과연 이게 옳은 일인가 자괴감이 오랫동안 있었습니다.<br><br>Q. (공무원의 기밀을 유출해야 한다는 부담은 안고 시작하신 거잖아요?)<br><br>A. "2017년 7월 하순경 청와대 경내에서 캐비닛에서 지난 정부 문건이 나왔습니다. 그런데 그 당시 박수현 대변인이 하는 이야기가 '내용 자체가 불법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서 공표한다'라고 했거든요. 저도 똑같은 겁니다."<br><br>◆공공기관 블랙리스트<br><br>Q. (블랙리스트라고 보시는 이유가 있습니까?)<br><br>A. "공공기관 리스트는 특감반에서 7월 출범하자마자 만든 것입니다. 공공기관이 330 몇 개쯤 됐습니다. 한 기관당 두 자리가 대통령이 임명하는, 청와대에 인사권이 있는 자리입니다. 그것을 1번 기관부터 300 몇십 번까지 엑셀파일로, 그때 우리 막내 직원 시켜서 만들었습니다."<br><br>Q. (이인걸 특감반장 지시가 있었다고 했는데, 구체적으로 어떤 말을 하며 지시를 내렸습니까?)<br><br>A. "'공공기관 감찰을 한다'라고 하면서 '전체 리스트를 이런 식으로 뽑자'라면서 저희 회의실에 화이트보드가 있습니다. 화이트보드에다가 '이런 식으로 엑셀자료를 만들어라'라고 회의하면서… "<br><br>"황당했던 것은 그 작업을 하면서 저희끼리, 직원들끼리 농담을 했습니다 '야 우리 빨리 캠프 출신들 일자리 만들어줘야지'라고… "<br><br>Q. (100~200명의 정리한 공공기관장 중에 실제로 인사 결과에 반영된 사람도 보셨나요?) <br><br>A. "그 사람 위주로 저희가 찾아가면 그 사람 세평을 묻고 찾아다니고 그 기관을 찾아가면 겁을 먹습니다. 그래서 스스로 나간 사람도 있습니다."<br><br>Q. (감찰 내용은 어느 선까지 보고됐나?)<br><br>A. "특감반장 회의를 거쳐서 저희가 배분받은 대로 감찰 동향을 받아서, 활동해서 표 상에 우측에다가 감찰 보고내용을 기재해놨습니다. 그걸 취합해서 특감반장에게 보고했고 특감반장이 반부패비서관에게 보고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 분명한 지시가 있었습니다.<br><br>◆외교부 공무원 감찰<br><br>Q. (구체적으로 그런 걸 지시한 사람이 있습니까?)<br><br>A. "특별감찰반장이 상부의 지시를 받고 외교부 건 감찰 같은 경우 대상자 명단이라고 해서 1번부터 십몇 번까지 열 몇 명에 대해서 예를 들면 차관보, 심의관, 북미국장, 동북아국장부터 해서 서기관까지 한 열 몇 명에 대해서 명단을 가지고 왔습니다."<br><br>Q. (어떤 내용으로 지시?)<br><br>A. "'대통령의 방중 한다는 부분, 한미 군사훈련이 연기된다는 부분에 대해서 자꾸 언론에 유출된다'라고, '유출에 대해 감찰을 해야 한다'라고 하면서 명단을 나눠줬고요."<br><br>Q. (기억나는 구체적 지시 내용이 있는지?)<br><br>A. "'김태우, 누구누구는 국장 포함해서 네 사람에 대해서 휴대전화를 빼앗아 와라. 그리고 누구누구 팀장은 어떤 국장들에 대해서 담당해서 휴대전화 가지고 와라.' 이렇게 지시가 있었습니다. 제가 필기한 것도 가지고 있고요."<br><br>Q. (직접 감찰도 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건데, 청와대가 원래 이렇게 할 수 있는 겁니까?)<br><br>A. "어떤 공무원이 거부하겠습니까? 휴대폰 내용에 사생활 유출, 사생활 부분 뭐 여자가 있다든가 뭐 그런 좀 치사한 방법으로 사생활까지 탈탈 털어서 그걸로 그 부분을 조사도 했습니다."<br><br>◆민간인 사찰<br><br>Q. (청와대 민간인 사찰 문제부터 이야기해보면요. 일단 청와대는 민간인 사찰 부분에 대해선 스스로 보고서를 만들었고 하지 말라고 경고까지 했다고 계속 말하고 있잖아요?)<br><br>A. "제가 백수십 건을 썼습니다. 그리고 보고서 외에 텔레그램이나 구두로 보고한 것도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. 그런데 그럼 제가 1년 4개월 16개월 근무했는데 16개월 내내 제가 수십 번 경고 받고 수십 번 계속 썼다는 건지 어떤 공무원이 그렇게 하겠습니까?"<br><br>Q. (당시에도 그럼 문제의식은 있으셨나요?)<br><br>A. "애매하거나 위험하다 싶은 부분은 (상부에서) '너희는 이중적 신분을 가지고 있다. 특감반원이면서 동시에 반부패비서관실 행정요원이다. 이건 행정요원으로서 시키는 것이다'라고… 다른 탈을 쓰고 일을 하라는 자체가 ."<br>위법이고요<br><br>Q. (마지막 하고 싶은 말씀은?)<br>친정부 인사에 대해서 감찰을 무마했던 부분 등등 이런 것에 대해서는 사실대로 낱낱이 밝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